근세 (에도막부 ~명치유신)
시대상 : 봉건체제 확립 하 막부의 권력 통제 강화되며 신분제도의 확립.
지방 도시와 교통이 발달하며 화폐경제 보급됨과 동시에 '쵸닌' 등장.
이를 바탕으로 문치정치 보급과 인쇄술 발달로 평민문학 선전.
산문문학의 흐름
1. 도시에 쵸닌 계급 증가하며 이들의 지식욕과 문학욕을 채우기 위해 출판이 성행함.
(임진왜란 후 조선 인쇄공 유입이 큰 역할)
2. 가나죠시
- 쵸닌들의 욕구를 스스로 해결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었기에 전 시대 무사,관료,승려,유학자 등이 저술하여 보급.
주로 계몽,오락,교훈,실용을 목적으로 '가나문' 으로 쓰여졌기에 이를 '가나죠시' 라고 부른다.
1. 이소보 모노가타리
- 이솝우화를 번역한 가나죠시류 작품
- 서구 문화가 일보에 정식으로 소개되었다는 접에서 일본 문학의 근대화 과정 이해에 도움
ex) 아기돼지 삼형제
1. 동물의 행동과 성격을 빌어 일반 대중에게 간결하고 명쾌한 문장으로 인생 묘사함
2. 동물의 의인화를 통해 근면성을 일깨우는 계몽적 성격을 지님
[이하라 사이카쿠]
- 1600년 에도시대 전기 무렵 소설이라는 장르 탄생하면서 하이카이시 최초 '쵸닌' 작가
- 인간의 욕망과 향락적 생활을 그린 작품 발표
- 화폐경제의 발달로 돈이 인간을 지배하며, 돈에 의해 운명이 좌지우지 되는 쵸닌의 모습 표현
- 근세 사회 '호색' 의 정신을 사실적으로 묘사함.
당시 시대정신과 세태를 사회적 관습까지 포함한 '호색' 구현하였다.
*우키요(이하라 사이카쿠 시발)
- 근세시대 쵸닌들의 "어떻게 즐기며 살아갈 것인가" 하는 사상. =====> 우키요죠시
쓰라린 세상에 대해 향락적이고 현세적인 것들을 나타냄. =====> (서민적이고 현실주의적)
1. [호색 일대남]
- 1862년 작으로 8권 84장의 독립적인 단편소설이다.
1. 내용
-1 주인공 유노스케의 방탕한 유년시절
-2 19세에 의절하고 방랑하며 호생
-3 의절 사면과 유상 상속
-4 유곽의 명기와 남자들 행태
-5 60세에 뇨고섬 원정을 가며 끝
2. 의의
- 도덕과 법률로부터 분리된 유곽을 무대로 [사랑,성,자유,인간성 해방] 강조
=> 문학계 측변에서 풍속소설/대중소설의 시작을 알리는 기념비적 작품
=> 문예의 대중화
[이로고로미]
- 다케토리 모노가타리에 첫 등장하며 겐지모노가타리의 주제이다.
연애를 풍류의 일환으로 보고 상징적/은유적으로 연애의 정취를 즐기는 것 뜻함
[호색]
- 연애를 인간본능 충족의 일환으로 봄
- 쵸닌은 연애를 삶에 즐거움을 주는 풍요로 생각. 하지만 어디까지나 유곽에서 발현된 저속한 것이다.
이로고노미가 세속화 된 것이 호색이라 보면 된다
[우에다 아키나리]
-요미홍의 대표적 작가
1. 요미홍.
- 이하라 사이카쿠 이후 지금까지의 저속함을 버리고 유학자들에게 의해 번역된 중국소설 번역물 유행
- 중국 단편 소설인 '백화 소설집' 등 통속 소설의 번역물이 많이 출간되어 지식인들의 욕구 충족
1.우케츠 모노가타리
- 괴기소설의 걸작이며 5권 9편으로 구성되었다.
- 중국의 백화소설 번안. 일본 독자적 요소와 작가의 사상 추가.
- 각 단편마다 타계의 망령,유령,화신 등이 등장
- 문학으로 인정받는데 그 이유는
1. 작품을 통한 순수한 인간성 회복 노력
2.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 의식
- 우키요죠시시 유행 후 최초의 요마홍.
1. 특징
- 전기적 요소
- 김시습의 금오신화와 유사. 스토리성이 강함
- 중국의 전등 신화 영향
- 한문 문언
- 일상생활과는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
+ 가미가타 문학 = > 에도문학
표면적으로는 세련되었으나 향락과 퇴폐의 요소가 짙어짐